흰소의 해, 기운이 넘치는 ‘나’를 만들어보자


이찬 대한태극권협회 창립자

2021. 02. 08 by 정리=최윤호 기자

곧 최대의 명절 설을 맞는다. 흰소의 기운이 넘쳐나는 다이내믹한 신축년을 기대해도 될까? 코로나19가 여전히 잦아들지 않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힘든 삶을 견디고 있지만 어느 정도 변화의 희망을 가져본다.

흰소의 기운이 우리에게 옮겨져 온다면 좋겠지만, 그보다는 우리 스스로 기운을 갈고 닦아 강하게 만드는 것이 더 좋은 일이다.

단전에 쌓인 기운이 온몸을 덥히는 기능을 하려면 제대로 기운을 단련해야 한다. / 캔서앤서DB단전에 쌓인 기운이 온몸을 덥히는 기능을 하려면 제대로 기운을 단련해야 한다. / 캔서앤서DB


기운을 기르는 두 가지 길

기(氣)는 기운이다. 일상 속에서는 기세가 되기도 하고, 기력으로 쓰이기도 한다. 기공은 기를 수련하는 운동이다. 무술 세계에서는 그냥 공(功)이라고 했을 때도 같은 뜻이 된다. 무협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공이다.

“권(拳)만 수련하고, 공을 수련하지 않으면 늙음에 이르러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간다.” “힘은 권을 대적할 수 없고, 권은 공을 대적할 수 없다.” 이러한 무술가의 금언은 공이 무엇인지 짐작하게 한다.

기공은 크게 양생적 기공과 무술적 기공으로 나눌 수 있다. 둘은 같은 것의 다른 방면이라고 생각하면 좋겠다. 도가나 불가의 양생수련이 정신수양과 건강장수에 목적이 있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것과 달리 무술에서는 자신을 강하게 하여 상대방을 굴복시키는 목적이 추가된다. 양생가의 기공은 양기(養氣)에 중점을 두고, 무술가의 기공은 연기(練氣)에 중점을 두게 된다.

양은 정신수양과 건강장수에 중점을 두어, 닭이 알을 품어 부화하듯 기를 따뜻하게 길러내는 것을 뜻한다. 연은 기공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해 적을 제압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쇠를 달궈 강철을 만들듯 단련하는 것을 말한다.

새해를 맞아 '기운 넘치는 나'를 만들기 위해 기를 양하고 연해야 한다. / unsplash
새해를 맞아 ‘기운 넘치는 나’를 만들기 위해 기를 양하고 연해야 한다. / unsplash


거센 바람 앞에 선 우리, ‘기 찬 나’가 필요하다

태극권을 배운다는 것은 양기를 기르는 근본적인 운동을 하면서, 연기를 통해 강한 몸을 갖게 하는 행위이다. 철광석을 많이 캤으나 달구고 두드려 강한 쇠로 만들지 않으면 쓸모가 없고, 강한 쇠를 만들기는 했으나 많이 캐내지 못했다면 양이 적어 쓸모가 없다.

흔히 하는 기공들의 문제는 그냥 호흡과 명상만으로 인해 양기만 이뤄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활용되고 사용되는 기운은 외부용으로 수련을 해 강하게 다듬어져야 하고, 움직임 속에서 길러져야 한다. 기공을 잘못해 내부 손상을 입었다는 이야기는 여기저기서 많이 들려온다.

자연의 순리를 따르고, 몸의 원리와 함께 해야 살아있는 기공이 된다. 단전은 부뚜막과 같아 침잠된 기를 따뜻하게 데운다. 그러면 기가 더워져 위로 올라가고 온도가 높아진 기체처럼 운동속도와 운동능력이 증대된다. 저절로 양기가 된다. 억지로 하지 말아야 한다. 원활히 움직이지 않으면서 쌓으면 압력이 높아져 터져버리는 것이다.

자, 자연을 찾아 호연지기를 기르든, 명상을 통해 마음의 힘을 기르든, 태극권을 수련해 기운 넘치는 삶을 살든, 가능한 방법을 찾아 기를 챙기자. 위험한 세상, 휘몰아치는 바람 앞에서 굳건히 살아내는 한해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운 넘치는 나’를 찾아야 한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