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6.2.
![]() |
|
![]() |
|
때 이른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던 6월의 첫 토요일 오후 진선여중 체육관을 들어서니 정해진 시간보다 조금 늦게 장소를 찾느라 흘린 땀 씻어내기 무섭게, 그간의 배운 솜씨를 실수 없이 보이기 위한 회원들의 연습 열기 또한 체육관 안을 더 뜨겁게 달아오르게 하고 있었다.
그간 도관만 오가며 만났던 회원들 중에 자주 보지 못했던 여러분을 뵐 수 있어서 기쁘기도 했지만 그 외에도 이찬 선생님의 문하에 그리 많은 사람들이 태극권을 연마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남모르게 어깨가 으쓱해지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간에 국제적인 행사가 있기는 하였으나 직접 그 자리에 함께 해보지 못한 본인의 입장에서는 외국의 그것도 태극권 종주국의 고수들을 만나 그들의 실력을 직접 확인할 거라는 기대는 뜨거운 태양과 체육관 안의 열기가 원인이 아니더라도 얼굴에 홍조를 띠게 함이 분명하였다.
![]() |
드디어 중국에서 도착한 여러 어른-나에게는 분명 나이 드신 분들임에 분명했다-들과 인사를 나누고 대한태극권협회와 중국 태극권 고수들의 주거니 받거니 시연회가 이어졌다. 우리 쪽의 여러 시연은 수줍게 선보인 것도 있지만 이찬 선생님의 시범이 이어지면서 그 수준을 올려놓을 수 있었다.
그리고 도관에 나가는 횟수가 줄면서 자주 접하지 못했던 선생님의 시연 모습을 끝까지 지켜보며 회원들 모두 자부심을 가질 또 다른 기회를 얻었다. 우리의 시범이 초보들의 긴장된 흔들림에서 선생님의 유려한 몸짓까지 이어진 반면 중국 측의 시연은 모두 고수들의 향연이라고나 할까.
![]() |
자국의 행사준비로 많은 인원이 빠지고 40명 남짓한 인원들이 왔다고 소개가 되었고 그 중에서 실력을 선보인 분들은 모두 오랜 수련을 통해 일정 경지에 이른 분들임을 이 하수에게도 한 눈에 드러났다.
|
대중 매체를 통해 가끔 중국의 폭 넓은 태극권 인구를 접하면서 우리도 공원에서 많은 사람이 모여 함께 수련을 하는 날이 있을 거라는 기대를 하면서도 이런 결과까지 감히 상상하지 못하였다. 70~80대의 노인들에게서 이런 기가 뿜어져 나오는구나. 과연 “상록수인 소나무가 다른 낙엽수와 구별되는 것은 겨울이 된 뒤의 일이다”라고 한, 공자의 가르침은 그 끝이 있구나 하는 감탄의 연발이었다.
![]() |
현재 교련으로서의 활동에도 전혀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이는 뛰어난 기량과 안정된 몸가짐은 그 자리에 있는 이들로 하여금 모두 반드시 상록수가 되라는 따뜻한 격려이기도 했다. 특히 감동적이었던 사실은, 도장에서 수련하면서 가끔, 아니 자주 느끼는 나만의 비애를 훌훌 털어 버릴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은 ‘태극권은 너무 남성 중심이어서 여자들이 끝까지 이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 한가’라는 나만의 의문을 가진 적이 여러 번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여자들이 현실적으로 도관을 찾는 여유와 용기를 가진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과 그리고 도관에서조차 수련의 분위기가 익숙지 않아 어색함이 이어지는데다 아직 우리의 태극권이 대중화되지 않은 이유도 있을 것이다.
![]() |
그런데 그날은 중국 고수는 대부분이 여자분들 그것도 노년층이 분명하였고, 그 기량이 곧추 세운 등골에 어깨를 가라앉힌 채 마음으로 기를 행하고 기로 몸을 다스리고 있음과 외유내강의 흐름을 확실히 보여줌으로써 나의 마음속에다 정말 상록수 한 그루 옮겨 심게 된 것이다.
엄마표 태극권을 확인하고파 함께 따라온 딸이 엄마의 어색한 몸동작과 그 분들의 실력을 확인하고서 엄마의 계속 수련을 요구한 것이 아니더라도 나 스스로 상록수가 되고픈 욕구를 충만 시킬 수 있었다. 태극권을 통한 몸과 마음의 수련에 남녀 구별이 있을 수 없으므로 지금 수련 중인 모든 여성 회원들이 끝까지 정진하여 도관을 빛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