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도(太極刀) / 태극대도(太極對刀)

동작이 숙달되기 전에는 도의 각도, 방향, 거리 및 모든 몸의 동작을
필히 한 동작 한 동작 명확하게 해야 하고,
숙달된 후에는 매 동작과 동작을 끊어짐이 없이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연결해야 한다.

ㅁㅁㅁ
태극도 명칭가(太極刀 名稱歌).   
 이찬 註

칠성고호의기양 (七星跨虎意氣揚: 상보칠성을 하고 퇴보고호를 하니 의기가 양양 하네. 상보칠성은 손의 모양을 북두칠성에 비유한 초식이고 퇴 보고호는 몸의 자세를 호랑이에 걸터앉은 것에 비유한 초식임)
백학양시암퇴장 (白鶴亮翅暗腿藏: 백학양시는 암암리에 찰 다리를 감추어두네. 백학양시는 백학이 날개를 드러낸다는 뜻의 초식임)
풍권하화은엽저 (風捲荷花隱葉底: 바람이 연꽃을 휘말아 잎 밑에 숨기네)
추창망월편신장 (推 望月偏身長: 창문을 밀어 열고 달을 바라보며 몸을 한쪽으 로 길게 기울이네)
좌고우반양분장 (左顧右盼兩分張: 좌고〔左顧:좌로 돌아봄〕·우반〔右盼:우로 돌 아 봄〕을 하며 양쪽으로 갈라 펴네)
옥녀천사응팔방 (玉女穿梭應八方: 옥녀천사는 팔방을 대응하네. 옥녀천사는 미녀 가 베틀북이 드나들 듯 빈번하게 오고 간다는 뜻의 초식임)
사자반구향전곤 (獅子盤球向前滾: 사자가 공을 몰며 앞으로 나아가네)
개산거망전신행 (開山巨 轉身行: 개산조사〔開山祖師: 기예나 학문의 一派의 창시자〕와 거대한 이무기가 몸의 방향을 바꾸면서 가네)
좌우고저접연화 (左右高低蝶戀花: 좌우고저의 나비가 꽃을 그리워하네)
전신여요여풍차 (轉身呂 如風車: 몸의 방향을 바꾸며 풍차처럼 여도(呂 刀)와 요 도( 刀)를 하네)
이기퇴래타호세 (二起腿來打虎勢: 이기퇴를 하고 타호세를 하네. 타호세는 범을 때려잡는 자세라는 뜻의 초식임 )
원앙퇴발반신사 (鴛鴦腿發半身斜: 원앙퇴를 발할 때 상반신을 비스듬히 하네)
순수추주편작고 (順水推舟鞭作 : 흐름을 따라 배를 밀며 쇠도리깨를 삿대로 삼 네. 순수추주는 흐름을 따라 배를 민다는 뜻의 초식임)
번신분수용문도 ( 身分手龍門跳: 몸을 돌리고 손으로 가르며 관문을 돌파하네)
역벽화산포도세 (力劈華山抱刀勢: 역벽화산을 하고 포도세를 하네. 역벽화산은 힘 이 화산을 쪼갤 만큼 강하다는 뜻의 초식이고, 포도세는 도를 안은 자세라는 뜻의 초식인 “抱刀刺”를 지칭함)
변화휴옥봉회소 (卞和 玉鳳回巢: 변화〔卞和:산중에서 얻은 名玉을 초나라 왕에 게 바친 사람〕가 옥을 지니고 봉이 되어 둥지로 돌아오네).이찬 註


태극기본 십팔도보(太極基本 十八刀譜)

제 1 단 ( 第 一 段 )
1. 입정포도 (入正抱刀)
2. 기세접도 (起勢接刀)
3. 허보장도 (虛步藏刀)
4. 상보찰도 (上步찰刀)
5. 좌우료도 (左右료刀) : (上步)
6. 좌우벽도 (左右劈刀)
7. 퇴보말도 (退步抹刀)
8. 반두벽도 (盤頭劈刀)
9. 허보말도 (虛步抹刀)

제 2 단 ( 第 二 段 )
10. 상보찰도 (上步찰刀)
11. 좌우료도 (左右료刀) : (退步)
12. 좌우벽도 (左右劈刀)
13. 퇴보말도 (退步抹刀) : (活步)
14. 반두벽도 (盤頭劈刀) : (活步)
15. 퇴보말도 (退步抹刀) : (活步)
16. 상보찰도 (上步찰刀)
17. 퇴보접도 (退步接刀)
18. 도법귀원 (刀法歸原)
ㅁㅁㅁ

 태극도보·32식

태극도보·32식 (太極刀譜·三十二式)
1.기세(起勢)

2.상보칠성(上步七星)

3.좌전칠성(左轉七星)

4.백학양시(白鶴亮翅)

5.전신장도(轉身藏刀)

6.사추도(斜推刀)

7.좌료(左료)

8.우료(우료)

9.정추도(正推刀)

10.옥녀천사(玉女穿梭)

11.평납(平拉) 평추(平推)

평납(平拉) 평추(平推)

12.사추도(斜推刀)

13.전신반두장도(轉身盤頭藏刀)

14.좌괄(左刮)

15.우선(右선) 좌괄(左刮) 우선(右선)

16.정추도(正推刀)

17.전신장도(轉身藏刀)

18.료도(료刀)

19.여도(여刀)

20.료도(료刀)

21.이기퇴(二起腿)

22.철보타호세(撤步打虎勢)

23.원앙퇴(鴛鴦腿)

24.전신반두장도(轉身盤頭藏刀)

25.순수추주(順水推舟) 정추도(正推刀) 순수추주(順水推舟) 정추도(正推刀)

26.전신장도(轉身藏刀)

27.상보료도(上步료刀)

28.도보타도(跳步타刀)

29.역벽화산(力劈華山)

30.포도자(抱刀刺)

31.번신환보감(번身換步감) 전신반두장도(轉身盤頭藏刀)

32.수도세(收刀勢)

ㅁㅁㅁ
태극도 십삼자결 (太極刀 十三字訣)     
이찬 註

감 : 감도(감刀: 쪼개다)는 위에서 똑바로 아래로 또는 왼쪽 위에서 비스듬히 오른쪽 아래로 또는 오른쪽 위에서 비스듬히 왼쪽 아래로 쪼개듯 베는 것으로서 정감도(正 刀)와 사감도(斜刀)로 구분된다.
타 : 타도(타刀: 썰다.다지다)는 양손으로 함께 칼자루를 쥐고 위에서부터 앞쪽 밑을 향해 똑바로 내리 썰 듯 베는 것이다.
잔 : 잔도(잔刀: 깍다)는 칼끝의 날 부분으로 위에서 아래로 또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또는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를 향해 깍듯이 베는 것이다.
절 : 절도(截刀: 끊다.막다) 는 상대방의 신체나 병기를 막거나 끊는 것으로서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운용하는 것이다.
괄 : 괄도(刮刀: 깍다)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깍듯이 베는 것이다.
요 : 요도(요刀: 쓸어 올리다) 는 밑에서부터 똑바로 위로 또는 왼쪽 밑에서 오른쪽 위로 또는 오른쪽 밑에서 왼쪽 위로 쓸어 올리듯 베는 것이다.
찰 : 찰도(찰刀: 찌르다)는 칼날 끝 부분으로 앞을 향해 찌르는 것이다.
여 : 여도(여刀: 썰다. 끌다)는 칼날을 밑으로 향하게 하여 위에서 앞으로 밑으로 뒤로 썰 듯이 베며 끌어당기는 것이다.
벽 : 벽도(劈刀: 쪼개다)는 위에서 똑바로 밑으로 또는 왼쪽 위에서 비스듬히 오른쪽 밑으로 또는 오른쪽 위에서 비스듬히 왼쪽 밑으로 쪼개듯 베는 것으로서 정벽도와 사벽도로 구분되며 감도(감刀)와 비슷하지만 감도보다는 세력(勢力)이 맹렬한 것이다.
전 : 전도(纏刀: 휘감다)는 도를 손목을 따라 빙 돌리는 것으로서 끊임없이 계속해서 휘감아 돌리는 것이다.
선 : 선도(선刀: 때리다)는 칼날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베는 것으로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베는 괄도(刮刀)와는 방향이 정반대인 것이다.
란 : 란도(란刀: 막다)는 밑에서 위로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막는 것이다.
활 : 활도(滑刀: 매끄럽다)는 매끄러운 동작의 상태를 이르는 것으로서 적의공격을 매끄럽게 흘려 내거나 유리한 형세를 타고 뒤쫓아 들어가 공격하는 것이다.


태극도결·십삼세(太極刀訣·十三勢)    이찬 註

칠성고호교도세 (七星跨虎交刀勢: 상보칠성·퇴보고호를 하고 도를 넘기네)
등나섬전의기양 (騰나閃展意氣揚: 돌려쓰며 번개처럼 전개하니 의기가 양양 하네)
좌고우반양분장 (左顧右盼兩分張: 좌고·우반을 하며 양쪽으로 나누어 펴네)
백학양시오행장 (白鶴亮翅五行掌: 백학이 날개를 펼치며 오행장을 시전하네)
풍권하화엽내장 (風捲荷花葉內藏: 바람이 연꽃을 휘말아 잎속에 숨기네)
옥녀천사팔방세 (玉女穿梭八方勢: 옥녀천사는 팔방을 대응하는 자세이네)
삼성개합자주장 (三星開合自主張: 세별이 벌어지고 합쳐짐은 자신의 주장대로 하네)
이기각래타호세 (二起脚來打虎勢: 이기각을 하고 타호세를 하네)
피신사괘원앙각 (披身斜掛鴛鴦脚: 몸을 열고 비스듬히 걸치며 원앙각을 하네)
순수추주편작고 (順水推舟鞭作고: 흐름을따라 배를 밀며 쇠도리깨를 삿대로 삼네)
하세삼합자유초 (下勢三合自由招: 다음 자세 세 합은 자유로운 초식이네)
좌우분수용문도 (左右分水龍門跳: 좌우로 물을 가르고 관문을 돌파하네)
변화휴옥봉회소 (卞和携玉鳳回巢: 변화가 옥을 지니고 봉이 되어 둥지로 돌아오네)
오사유하사도찬 (吾師留下四刀讚: 나의 스승님께서 사도찬을 남기셨네)
구전심수불망교 (口傳心授不妄敎: 口訣과 秘訣을 전수함에 함부로 가르치지 말라!)
ㅁㅁㅁ

 태극대도보 (太極對刀譜)    이찬 註

태극대도보 (太極對刀譜)

사도찬 (四刀讚)
太極拳法에는 四正이 있고 太極刀法에는 四讚이 있다.

1. 작 타(斫 타 : 찍어 썰듯이 벰)
2. 잔 ( 잔 : 깍듯이 벰)
3. 절 할(截 割 : 신체나 병기를 차단하거나 자르듯이 벰)
4. 료 완(료 腕 : 손목을 쓸어 올리듯이 벰)

 

 

태극대도 응용10법 (太極對刀 應用十法)
기세합도 (起勢合刀) 상보칠성 (上步七星)
백학량시 (白鶴亮翅) 상보접도 (上步接刀)
전신말도 (轉身抹刀)
1. 벽 견 (劈 肩) (上手) 2. 리타완 (裏 腕) (下手)
3. 찰 복 (찰 腹) (下手) 4. 외절완 (外截腕) (上手)
5. 자 요 (刺 腰) (上手) 6. 외타완 (外 腕) (下手)
7. 할 후 (割 喉) (下手) 8. 상절완 (上截腕) (上手)
9. 감 퇴 (감 腿) (下手) 10. 하절완 (下截腕) (上手)
독립회도 (獨立回刀) 허보말도 (虛步抹刀) 상보접도 (上步接刀)
이 기 퇴 ( 二起腿 ) 우타호세 (右打虎勢) 상보칠성 (上步七星)
퇴보고호 (退步跨虎) 전신수세 (轉身收勢)동작이 숙달되기 전에는 도의 각도, 방향, 거리 및 모든 몸의 동작을 필히 한 동작 한 동작 명확하게 해야 하고, 숙달된 후에는 매 동작과 동작을 끊어짐이 없이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연결해야 한다.상대방이 사용하는 도(刀)의 종류에 따라 주시하는 부위가 각각 다른데 이는 다음과 같다.”단도간수·쌍도간주·대도간악수 (單刀看手·雙刀看走·大刀看握手)”

 

……………………………………………..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