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검(太極劍)

검법은 여태껏 전수(傳授)하기가 쉽지 않은데,
용 같고 무지개 같으며 가장 도리가 깊어서 알기 어렵네.
만약 쪼개고 벰을 도식(刀式)처럼 한다면,
장삼봉 노검선께서 웃음을 금치 못할 것이네.

태극검가(太極劍歌)

검법종래불이전, 여용사홍최유현. 劍法從來不易傳, 如龍似虹最幽玄.
당약감벌여도식, 소사삼봉노검선. 倘若砍伐如刀式, 笑死三丰老劍仙.

검법은 여태껏 전수(傳授)하기가 쉽지 않은데,
용 같고 무지개 같으며 가장 도리가 깊어서 알기 어렵네.
만약 쪼개고 벰을 도식(刀式)처럼 한다면,
장삼봉 노검선께서 웃음을 금치 못할 것이네.

ㅁㅁㅁ
운검칠구언(運劍七句言)

검수신보상신전(劍隨身步上伸展:검을 몸과 걸음을 따라서 내 뻗는다)
보퇴신수검취굴(步退身隨劍就屈:걸음을 물리면 몸이 따르고 검도 곧 굽힌다)신검순세주직선(伸劍順勢走直線:검을 내뻗음은 순세를 따라 직선으로 뻗는다)
굴검번완화호형(屈劍翻腕化弧形:검을 굽힘은 손목을 뒤집으며 활모양으로 변 화시킨다)
좌섬우피철리보(左閃右避撤離步:좌우로 날쌔게 피하며 퇴각한다)
수검철퇴선습격(收劍撤退先襲擊:우선 습격한 후 검을 회수하며 철수한다)
불론공수아위선 (不論攻守我爲先:공수를 막론하고 내가 선수가 되게 쓴다)
ㅁㅁㅁ

검법오금기(劍法五禁忌)

포검여포도(抱劍如抱刀:도를 안은 것처럼 검을 안음)
악검약재도(握劍若宰刀:도를 주재하듯 검을 쥠)
감벌여도식(砍伐如刀式:도식처럼 쪼개고 벰)
무검미전과(舞劍眉前過:휘두르는 검이 눈썹 앞을 지남)
반두우전요(盤頭又纏腰:머리를 휘감거나 허리를 감음)
ㅁㅁㅁ

검의 악법(握法)

검을 쥐는 방법은 여섯 종류가 있는데, 엄지와 장지 및 무명지를 위주로 하고 검지와 새끼손가락은 주로 검의 운용방향을 조종한다. 너무 꼭 쥐어도 안 되고 너무 느슨하게 쥐어도 안 된다. 너무 꼭 쥐면 검을 영활하게 자유자재로 운용할 수 없고 너무 느슨히 쥐면 적의 병기와 마주쳤을 때 쉽게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꼭 쥐기도 하고 느슨히 쥐기도 하는 허실변화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또한 장심(掌心)과 검병(劍柄:검의 손잡이)사이는 붓을 쥔 듯 텅 비워야만 검을 영활하게 운용할 수 있고 경(勁)도 생기게 되며 때때로 검지를 늦춤으로써 격출하는 검의 길이를 약간 늘릴 수도 있다.

육종악검법(六種握劍法:여섯 종류의 검을 쥐는 법)

  1. 음수검(陰手劍:손바닥이 땅을 향하고 손등이 하늘을 향한 것)
  2. 양수검(陽手劍: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고 손등이 땅을 향한 것)
  3. 순수검(順手劍:대체로 보아서 손바닥이 좌측을 향한 것)
  4. 역수검(逆手劍:대체로 보아서 손바닥이 우측을 향한 것)
  5. 내수검(內手劍:대체로 보아서 손바닥이 자기를 향한 것)
  6. 외수검(外手劍:대체로 보아서 손등이 자기를 향한 것)
    ㅁㅁㅁㅁㅁㅁ

검결(劍訣)

검결(劍訣)은 검지(劍指)라고도 하는데, 검을 쥐고 있지 않은 손의 독특한 손가락 모양을 이르는 것으로 극지(戟指:창처럼 곧게 편 손가락)와 산극(散戟),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이는 상대방을 유인하고 창이나 봉을 밀어내거나 움켜잡고 적의 급소를 찍는 작용 외에도 균형을 잡고 동작에 협조하고 검세(劍勢)를 촉진시키고 검경(劍勁)을 늘리는 등의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극지(戟指:검지와 장지는 곧게 펴고 엄지 및 무명지와 새끼손가락은 구부리는데 엄지의 지문부위를 무명지의 손톱부위에 가볍게 접한 것이다.

산극(散戟:초식을 펼칠 때 경우에 따라 엄지가 무명지에서 때때로 떨어지는 것이다.
ㅁㅁㅁ

태극검십삼자결(太極劍 十三字訣)

태극권에는 팔문오보(八門五步), 즉 붕․리․제․안․채․열․주․고․진․퇴․고․반․정의 십삼세(十三勢)가 있고 태극검에는 십삼자결(十三字訣), 즉 추․대․제․각․격․자․점․붕․교․압․벽․절․세의 십삼세(十三勢)가 있다.

  1. 추:추(抽:끌어당기다)는 마치 채찍으로 가축을 후려치는 것과 같은 경세(勁勢)로서 좌측을 향해 가로로 쓰는 것이고 또한 좌측으로 날쌔게 피하는 초식인데 동작은 급하고 빠르다. 추(抽)는 좌추(左抽)이다. 태극권에 있어 좌고(左顧)와 같다.
  2. 대:대(帶:빙 두르다)는 추(抽)와 같은 의미이다. 다만 그 동작의 운용 방향이 서로 반대일 뿐이다. 대(帶)는 우대(右帶)이다. 그러므로 검술에서 부르기를 좌추우대(左抽右帶)라고 한다. 태극권의 좌고우반(左顧右盼)과 같다.
  3. 제:제(提:들어올리다)는 검 끝을 아래로 늘어뜨린 채 위로 들어올리며 적의 손목이나 신체를 공격하는 경세(勁勢)이다. 또한 나를 향해 찔러오는 적의 검을 막은 후 점․련․첩․수를 하며 따라 붙어 정세를 따라 공격하는 것이다. 태극권의 붕(掤)과 같다.
  4. 각:각(格:저지하다)은 상대방의 무기를 가로막아 나를 상해할 수 없게 하는 경세(勁勢)이다. 이를 행할 때 왼손 검결지(劍訣指)는 상하좌우를 막론하고 반드시 오른쪽 손목을 지켜야 한다. 그래야만 경세(勁勢)를 도울 수 있고 쉽게 변화시켜 공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검날로 막으면 날이 손상된다는 점을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각법(格法)은 태극권의 제수(提手)사용법과 비슷하다.
  5. 격:격(擊:공격하다)은 자(刺)의 의미도 포함하는데 대개 반격을 위주로 하는 경세(勁勢)로서 대체로 한번 재빨리 피하고 한번 재빨리 반격하는 것이다. 그 오묘함은 손목의 민첩한 돌림에 있으며 신체 어느 부위라도 공격할 수 있으나 만약 신체에 미치지 못할 때에는 무기를 가격할 수도 있다. 격세(擊勢)는 특히 적의 손목을 위주로 공격하는 것이다. 격법(擊法)은 태극권의 안(按)과 같다.
  6. 자:자(刺:찌르다)는 주로 적의 신체를 공격하는 경세(勁勢)로서 상․중․하의 자법(刺法)이 있으며 대부분 양손으로 검을 받쳐 들고 팔꿈치를 굽혔다가 펴면서 반듯하게 앞으로 찌르는 것이다. 또한 주화(走化)를 한 후에 정세를 좇아 따라 붙으며 갑자기 검을 내 뻗으며 찌르는데, 마치 뱀이 혀를 날름거리듯 굽히고 펴면서 신속한 동작으로 찌른다. 자(刺)를 한 후에는 즉시 정세를 따라 변화해 나의 검을 그의 병기에 달라 붙여 따라 붙으며 진퇴를 하거나 좌우로 날쌔게 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검(刺劍)을 할 때 늘 상대방에게 나의 손목을 공격당하게 된다. 양손으로 검을 받쳐 든 자(刺)의 자세는 태극권의 제(擠)와 닮았다.
  7. 점:점(點:점을 찍다)은 위에서 아래를 향해 검 끝으로 공격하는 경세(勁勢)로서 주로 걸음을 내딛거나 몸을 날려 뛰면서 점을 찍듯 공격하는 것이다. 마치 처마 끝의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과 같고 높은 곳에 앉아 밑을 내려다보는 것과 같다. 또한 점(點)은 전진하며 공격하거나 후퇴하며 반격하거나 가장 길게 운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한 점의 경(勁)으로 공격하는 것이 태극권의 주(肘)와 같다.
  8. 붕:붕(崩:무너지다)은 갑자기 검을 쥔 손목을 아래로 가라앉히면서 검 끝을 위로 치켜 올려 공격하는 것이다. 검술에 있어 검 끝을 아래로 떨어뜨려 밑을 공격하는 것은 점(點)이라 하고 검 끝을 위로 치켜들어 위를 공격하는 것은 붕(崩)이라 한다. 태극권의 고(靠)와 같다.
  9. 교:교(攪:휘젓다)는 적의 검신(劍身)이나 검을 쥔 손목을 둘둘 휘감아 돌리는 것으로 순교(順攪)와 역교(逆攪)가 있다. 교검을 할 때에는 반드시 둘둘 휘감으며 바싹 뒤따라가 적으로 하여금 벗어날 수 없게 해야 하고 공격하는 적의 검을 비스듬히 밀어내고 찌르거나 누르고, 찌르거나 휘감으며 손목을 벤다. 이는 전진할 때나 후퇴할 때나 모두 펼칠 수가 있다.
  10. 압:압(壓:내리 누르다)은 공격해 오는 적의 무기를 내리누르는 것으로서 한번 누르면 한번 공격한다. 압검(壓劍)을 할 때 반드시 점․련․첩․수와 부주(不丢)․부정(不頂)을 하며 이를 토대로 공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적이 쉽게 나의 압경(壓勁)을 벗어나며 반격하게 된다. 압검(壓劍)은 상․중․하의 세 종류로 구분된다.
  11. 벽:벽 (劈:쪼개다)은 전체 검 날로 위에서 아래로 맹렬하게 상대방을 찍어 내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빈틈이 많으므로 반드시 확실한 기회를 잡았을 때에만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반격 당하게 된다. 벽검(劈劍)의 맹렬함은 태극권의 열(扌列 )과 같다.
  12. 절:절(截:차단하다)은 검신(劍身)으로 상대방의 공격을 저지하는 것이다. 검법에서는 검신(劍身)으로 위로 막거나 아래로 저지하면 각(格)이라 하고 좌측으로 막거나 우측으로 밀어내면 절(截)이라 한다. 절검(截劍)의 운용은 태극권의 리(扌履 )와 같다.
  13. 세:세(洗:쓸어버리다)는 검을 쓸어 올리는 경세(勁勢)로서 교묘하게 밀어내고 가볍게 제압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쓸어 올려 밀어내며 약 빠르게 찌르는 것을 포함하며 거짓 동작의 방어와 공격을 함유한 것으로서 검술상의 독특한 수법이다. 속담에 “저 사람 매우 세련되고 야무지다.”고 말하는 바, ‘세련되고 야무지다’는 의미는 ‘매우 깔끔하고 일 처리에 능숙하다’는 것을 비유한 것으로 ‘세련(洗鍊)’이라는 두 글자는 바로 검술수법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세검(洗劍)은 태극권의 채(採)와 같다.

ㅁㅁㅁ

마검(磨劍)교검(攪劍)

마검과 교검은 태극권의 단추수(單推手)와 같은 것으로서 먼저 단련(單練)을 충분히 한 후에 대련(對練)을 한다.

마검(磨劍)
마검은 대검(對劍)에 있어 점․련․첩․수 (黏連貼隨) 및 청경(聽勁)과 검․신․보(劍身步)를 일치시키는 수련법으로서 정보(定步), 진보(進步), 퇴보(退步)의 세 종류 보법에 각각 상․중․하의 세 종류 자법(刺法)을 실시한다.

마검삼보(磨劍三步)
1. 정보대자(定步對刺)
2. 삼보대자(三步對刺)
3. 활보대자(活步對刺)

마검삼자(磨劍三刺)
1. 상자인후(上刺咽喉)
2. 중격심와(中擊心窩)
3. 하점퇴복(下點腿腹)

교검(攪劍)
교검은 손목관절의 느슨함과 영활함 및 주화(走化)를 위주로 하는 수련법으로서 정보(定步), 진보(進步), 퇴보(退步)의 세 종류 보법과 순교(順攪)와 역교(逆攪)로 구분된다.

교검삼보(攪劍三步)
1. 정보교검(定步攪劍)
2. 순진교검(順進攪劍)
3. 역퇴교검(逆退攪劍)
ㅁㅁㅁ

산검사대법(散劍四對法)

산검사대법은 태극권의 사정추수(四正推手)와 같다.

사진공법(四進攻法)
1. 상보격심와(上步擊心窩)
2. 진보자인후(進步刺咽喉)
3. 좌고추신항(左顧抽身項)
4. 우반대신견(右盼帶身肩)

사반공법(四反攻法)
1. 철보점완비(撤步點腕臂)
2. 침좌붕수완(沉挫崩手腕)
3. 좌고격비완(左跨擊臂腕)
4. 우섬격근맥(右閃擊筋脈)
ㅁㅁㅁ

삼반대검(三盤對劍)

삼반대검은 인체를 천․지․인(天地人)의 세 부위로 나누어 점․련․첩․수․전(黏連貼隨纏) 및 부주(不丢)․부정(不頂)을 하면서 서로 공방(攻防)을 주고받고 허실(虛實)을 바꾸며 검․신․보(劍身步)의 합일(合一)과 운용의 변화를 수련하는 법으로서 태극권의 추수 및 산수와 같다.

삼반운용법(三盤運用法)

  1. 천반(天盤) : 천반은 상반(上盤)인데, 곧 검을 인체의 윗 부위에서 운용하는 것으로 어깨, 목, 가슴 등을 공격하는 것이다.
  2. 지반(地盤) : 지반은 하반(下盤)인데, 곧 검을 인체의 밑 부위에서 운용하는 것으로 다리, 무릎, 발등을 공격하는 것이다.
  3. 인반(人盤) : 인반은 중반(中盤)인데, 곧 검을 인체의 중간부위에서 운용하는 것으로 심장, 허리, 팔 등을 공격하는 것이다.

『단도간수․보검간심(單刀看手․寶劍看鐔)』
ㅁㅁㅁ

태극기본십삼검보(太極基本十三劍譜)

  1. 상산학검(上山學劍)
  2. 예비기세(豫備起勢)
  3. 검결지남(劍訣指南)
  4. 투환포검(套環抱劍)
  5. 쌍봉자검(雙捧刺劍)
  6. 호완각검(護腕格劍)
  7. 난절세검(攔截洗劍)
  8. 좌반세검(左反洗劍)
  9. 우순세검(右順洗劍)
  10. 좌고추검(左顧抽劍)
  11. 우반대검(右盼帶劍)
  12. 토신격검(吐信擊劍)
  13. 순진교검(順進攪劍)
  14. 역퇴교검(逆退攪劍)
  15. 독립점검(獨立點劍)
  16. 침좌붕검(沈挫崩劍)
  17. 상수제검(上手提劍)
  18. 반좌절검(盤坐截劍)
  19. 첩수압검(貼隨壓劍)
  20. 당두벽검(當頭劈劍)
  21. 반료세검(反撩洗劍)
  22. 쌍봉자검(雙捧刺劍)
  23. 환아원본(還我原本)
  24. 배검하산(背劍下山)

ㅁㅁㅁ

태극검보(太極劍譜)

  1. 기세(起勢:동작하기 시작함)
  2. 상보합검식(上步合劍式:앞으로 걸음을 옮겨 검을 덮음)
  3. 선인지로(仙人指路:신선이 길을 가리킴)
  4. 삼환투월(三環套月:세 겹으로 된 달무리)
  5. 대괴성(大魁星:북두칠성의 네모형태를 이룬 네 별)
  6. 연자초수(燕子抄水:제비가 물을 챔)
  7. 좌우란소(左右攔掃:좌우로 막고 쓸음)
  8. 소괴성(小魁星:북두칠성의 네모형태를 이룬 네별)
  9. 황봉입동(黃蜂入洞:나나니벌이 굴로 들어감)
  10. 영묘포서(靈貓捕鼠:사향고양이가 쥐를 잡음)
  11. 청정점수(蜻蜓點水:잠자리가 물을 참)
  12. 연자입소(燕子入巢:제비가 둥지로 들어감)
  13. 봉황쌍전시(鳳凰雙展翅:봉황이 양 날개를 펼침)
  14. 우선풍(右旋風:오른쪽으로 바람이 돔)
  15. 소괴성(小魁星:북두칠성의 네모형태를 이룬 네 별)
  16. 좌선풍(左旋風:왼쪽으로 바람이 돔)
  17. 등어식(等魚式:물고기를 기다림)
  18. 발초심사(撥草尋蛇:풀을 헤쳐 뱀을 찾음)
  19. 회중포월(懷中抱月:가슴속에 달을 품음)
  20. 송조상림(送鳥上林:숲으로 새를 날려 보냄)
  21. 오룡파미(烏龍擺尾:흑룡이 꼬리를 흔듬)
  22. 풍권하엽(風捲荷葉:바람이 연잎을 휘말음)
  23. 사자요두(獅子搖頭:사자가 머리를 흔듬)
  24. 호포두(虎抱頭 :호랑이가 머리를 감싸 안음)
  25. 야마도간(野馬跳澗:야생마가 계곡을 건너뜀)
  26. 번신늑마(翻身勒馬:몸을 돌려 말고삐를 조임)
  27. 지남침(指南針:나침반의 침이 남쪽을 가리킴)
  28. 영풍탄진(迎風撣塵:바람을 맞이해 먼지를 텀)
  29. 순수추주(順水推舟:흐름을 따라 배를 밈)
  30. 유성간월(流星趕月:유성이 달을 뒤쫓음)
  31. 천조비폭(天鳥飛瀑:종달새가 폭포를 날음)
  32. 도렴식(挑簾式:발을 걷어 올림)
  33. 좌우차륜검(左右車侖劍:좌우 수레바퀴 검)
  34. 연자함니(燕子啣泥:제비가 진흙을 묾)
  35. 대붕전시(大鵬展翅:큰 붕새가 날개를 폄)
  36. 해저로월(海底撈月:바다 밑의 달을 채취함)
  37. 회중포월(懷中抱月:가슴속에 달을 품음)
  38. 야차탐해(夜叉探海:두억시니가 바다 속을 염탐함)
  39. 서우망월(犀牛望月:코뿔소가 달을 바라봄)
  40. 사안식(射雁式:기러기를 쏨)
  41. 청룡탐조(靑龍探爪:청룡이 발톱으로 더듬음)
  42. 봉황쌍전시(鳳凰雙展翅:봉황이 양 날개를 펼침)
  43. 좌우고란(左右跨攔:좌우로 걸터앉듯 막음)
  44. 사안식(射雁式:기러기를 쏨)
  45. 백원헌과(白猿獻果:흰 원숭이가 과일을 바침)
  46. 낙화식(落花式:떨어지는 꽃잎 같은 초식)
  47. 옥녀천사(玉女穿梭:미녀가 베틀북이 드나들 듯 빈번하게 오고감)
  48. 백호교미(白虎攪尾:백호가 꼬리를 휘저음)
  49. 어도룡문(魚跳龍門:물고기가 관문을 돌파함)
  50. 오룡교주(烏龍絞柱:흑룡이 기둥을 휘감음)
  51. 선인지로(仙人指路:신선이 길을 가리킴)
  52. 풍소매화(風掃梅花:바람이 매화꽃을 쓸음)
  53. 수봉아홀(手捧牙笏:손으로 상아홀을 받듬)
  54. 포검귀원(抱劍歸原:검을 안고 제 자리로 돌아옴)

ㅁㅁㅁ

오행상극검(五行相剋劍)

오행상극검은 태극권의 대리(大履 )와 같은데, 오행의 상생(相生)․상극(相剋)의 원리에 따라 운용하면서 나아가고 물러나고 회전하고 따라가고 주화(走化)하고 견인하는 등의 변화를 수련하는 것이다.

십삼자결(十三字訣)은 검법이 위주가 되고 오행상극검은 보법, 즉 오행보(五行步)와 신법(身法)이 위주가 되지만 반드시 검․신․수․보(劍身手步)를 합일(合一)시켜 운용해야 한다.

오행상극검보(五行相剋劍譜)

배검예비 (背劍預備)
퇴보접검 (退步接劍)
1. 근수자검 (跟隨刺劍)
2. 란소괘검 (攔掃掛劍)
3. 인진각검 (引進格劍)
4. 세료포검 (洗撩抱劍)
5. 주화제검 (走化提劍)
수검회원 (收劍回原)

메뉴